티스토리 뷰

Linux

vi 한글이 깨지는 경우

정든친구 2019. 8. 19. 22:27

1. 리눅스의 설정된 인코딩 정보와 해당 파일의 인코딩 정보 확인

  • 리눅스 설정 확인 -> echo $LANG
  • 파일 인코딩 정보 확인 -> file -i <파일명>
    • 사용 예
      $ file -i sample.c
      sample.c: text/x-c; charset=utf-8

2. 파일 인코딩 변경

  • vi 편집 화면에 들어가서... (권장)
    • vi <파일명> 으로 파일을 열고...
    • 명령 모드에서 
      :set fileencoding=utf-8
      입력
    • :w 명령으로 저장하고 종료
  • iconv 명령 사용 (권장하지 않음. 인코딩을 변경하면 한글이 깨지는 경우가 발생)
    • $ iconv -f <원 문서 인코딩> -t <출력 인코딩> -o <저장 파일명> <인코딩을 변경할 파일명>
      *** 주의: <저장 파일명>에 해당하는 파일은 이미 존재해 있어야함. (cp 명령으로 변경전 파일을 복사)

      (예) $ iconv -f iso-8859-1 t utf-8 -o sample.txt.new sample.txt 

*** 참고

파일 내에 한글이 없고 영문만 있다면 charset 은 us-ascii 이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m 추천글(플러그인)  (0) 2019.08.21
open 함수  (0) 2019.08.20
ANSI C의 미리 정의된 매크로  (0) 2019.08.17
기본 터미널 변경(terminator)  (0) 2019.08.14
Top 40 Best Linux Commands Cheat Sheet. Get It Free Now  (0) 2019.08.13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